7월 부가세 신고를 마쳤다고 끝이 아닙니다.
정확한 납부와 환급 확인, 그리고 가산세 방지까지 신경 써야 진짜 신고 완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부가세 신고 후 필수 확인사항과 납부·환급·가산세에 대한 핵심 정보를 정리했습니다.
목차
1️⃣ 부가세 신고 후 납부 방법
2️⃣ 부가세 환급 절차와 시기
3️⃣ 가산세 종류와 부과 기준
4️⃣ 납부·환급 시 유의사항
다음은 부가세 신고 후 납부 방법입니다.
1️⃣ 부가세 신고 후 납부 방법
✅ 납부 기한: 7월 25일까지 반드시 납부
✅ 납부 방법:
- 홈택스 (계좌이체, 신용카드, 간편결제 등)
- 인터넷지로
- 은행 창구
- 모바일(손택스)
✅ 분납 가능 여부:
일반과세자(개인)는 최대 2개월 분납 가능 (납부 기한 내 신청 필수, 일정 요건 충족 시)
📌 Tip: 홈택스 납부 영수증을 출력하거나 캡처해 보관하세요.
다음은 부가세 환급 절차와 시기입니다.
2️⃣ 부가세 환급 절차와 시기
✅ 환급 대상:
- 매입세액이 매출세액보다 큰 경우
- 수출기업, 설비 투자 초기기업
✅ 환급 절차:
- 신고 시 환급 계좌 등록
- 국세청 심사
- 신고 후 약 30일 이내 환급 (심사 지연 시 다소 늦어질 수 있음)
📌 환급 계좌는 사업자 명의 계좌만 가능
다음은 가산세 종류와 부과 기준입니다.
3️⃣ 가산세 종류와 부과 기준
가산세 종류 부과 사유 세율
무신고 가산세 | 신고하지 않음 | 20% (부정 신고 시 40%) |
과소신고 가산세 | 적게 신고 | 10% (부정 신고 시 40%) |
납부불성실 가산세 | 기한 내 미납부 | 미납세액 × 기간 × 0.025% |
세금계산서 관련 가산세 | 미발급, 지연발급 | 공급가액의 1% (미발급 시) |
📌 주의: 수정신고를 통해 가산세를 일부 경감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.
다음은 납부 환급시 유의사항입니다.
4️⃣ 납부·환급 시 유의사항
✔ 납부 기한을 반드시 지킬 것 — 하루만 늦어도 가산세 발생
✔ 환급 계좌, 사업자 명의로 정확히 입력
✔ 신고 후 신고내역·납부내역 홈택스에서 확인
✔ 가산세가 부과된 경우 즉시 납부 또는 이의신청 검토
'세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월 부가세 신고 꿀팁과 자주 묻는 질문 (FAQ) (0) | 2025.07.08 |
---|---|
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 부가세 신고 차이점 (0) | 2025.07.08 |
7월 부가세 신고, 일반과세자 반드시 알아야 할 절차(2회) (0) | 2025.07.07 |
✍ 7월 부가세 신고, 간이과세자 필수 체크리스트 (1회) (0) | 2025.07.07 |
법인지방소득세 신고·납부, 4월 안에 꼭 챙기세요! (0) | 2025.04.05 |
온라인 쇼핑 시 현금영수증 발급받는 법 (쿠팡, 네이버, G마켓) (0) | 2025.04.05 |
병원·약국에서 현금영수증 꼭 받아야 하는 이유(필독!!) (0) | 2025.04.04 |
현금영수증 취소하는 방법 (PC/모바일) (0) | 2025.04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