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월은 간이과세자에게 중요한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 방법, 신고 시 주의사항, 홈택스 간단 신고 방법 등을 정리했습니다.
목차
1️⃣ 7월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 기간
2️⃣ 간이 과세자 신고 대상자
3️⃣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 방법
4️⃣ 간이과세자 신고 시 주의사항
5️⃣ 자주 묻는 질문(간이과세자)
6️⃣ 결론
📌 1. 7월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 기간
✅ 2025년 7월 부가세 신고·납부 기간
- 2025년 7월 1일 ~ 7월 25일
- 2024년 1월 ~ 6월(상반기) 사업 실적에 대해 신고
👉 이 기간 안에 반드시 신고·납부를 완료해야 가산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.
다음은 간이과세자 신고 대상자입니다.
📌 2. 간이과세자 신고 대상자
다음에 해당하면 7월에 부가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.
- 전년도 공급대가(매출)가 8,000만 원 이하
- 간이과세자로 등록된 개인사업자
💡 주의: 공급대가 8,000만 원 초과 시 일반과세자로 전환됩니다.
다음은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 방법입니다.
📌 3.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 방법
🚀 국세청 홈택스 전자신고
1️⃣ 홈택스 로그인 → [신고/납부] → [부가가치세] → [간이과세자 신고서 작성]
2️⃣ 매출·매입 자료 입력
3️⃣ 신고서 제출 → 납부
💡 홈택스는 과세기간 동안 발급·수취한 세금계산서 자료를 자동으로 불러오므로, 반드시 확인 후 제출하세요.
✉ 방문·우편 신고
세무서 방문 또는 우편으로도 가능하지만, 전자신고가 간편하고 빠릅니다.
다음은 간이과세자 신고시 주의사항입니다.
📌 4. 간이과세자 신고 시 주의사항
✅ 세금계산서 발급 여부 확인
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의무가 없지만, 일부 업종(도매업 등)은 발급이 가능합니다.
이 경우 발급내역을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.
✅ 면세·과세 구분 주의
매출이 면세인지 과세인지 잘못 입력하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✅ 가산세 주의
- 신고불성실가산세: 미신고·지연 신고 시 발생
- 납부불성실가산세: 세금을 기한 내 납부하지 않으면 발생
다음은 자주 묻는 질문입니다.
📌 5. 자주 묻는 질문 (간이과세자)
Q. 간이과세자도 환급 받을 수 있나요?
👉 간이과세자는 원칙적으로 부가세 환급이 없습니다.
단, 세금계산서 발급분 매입세액은 일부 공제 가능합니다.
Q. 매출 없으면 신고 안 해도 되나요?
👉 매출이 없어도 신고는 의무입니다.
‘무실적 신고’를 하셔야 가산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.
📌 6. 결론: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, 이렇게 준비하세요
✅ 7월 25일까지 홈택스에서 간단 신고
✅ 매출·매입 자료 꼼꼼히 확인
✅ 가산세 방지 위해 기한 엄수
'세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월 부가세 신고, 일반과세자 반드시 알아야 할 절차(2회) (0) | 2025.07.07 |
---|---|
법인지방소득세 신고·납부, 4월 안에 꼭 챙기세요! (0) | 2025.04.05 |
온라인 쇼핑 시 현금영수증 발급받는 법 (쿠팡, 네이버, G마켓) (0) | 2025.04.05 |
병원·약국에서 현금영수증 꼭 받아야 하는 이유(필독!!) (0) | 2025.04.04 |
현금영수증 취소하는 방법 (PC/모바일) (0) | 2025.04.03 |
현금영수증 조회 및 내역 확인하는 법 (PC/모바일) (0) | 2025.04.02 |
현금영수증 발급 의무 및 신고 방법 (자영업자 필독!) (0) | 2025.04.01 |
현금영수증이란? 현금영수증 등록 및 발급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3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