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시에 사는 우리는 언제든지 전기, 수도, 식료품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야생에서는 모든 것이 달라집니다.
예상치 못한 사고로 인해 숲, 산, 사막과 같은 환경에서 최소 72시간 동안 생존해야 할 상황이 올 수도 있습니다.
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먹을 것, 물, 피난처를 확보하는 것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야생에서 3일(72시간) 동안 살아남는 법을 알려드립니다.
목차
먹을 것 – 야생에서 안전하게 음식 찾기
야생에서는 음식이 부족해도 아무거나 먹으면 안 됩니다.
독성이 있는 식물이나 상한 음식을 먹으면 오히려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✅ 야생에서 먹을 수 있는 것
- 견과류: 도토리, 밤, 호두 같은 견과류는 지방과 단백질이 풍부하여 에너지를 보충하는 데 유용합니다.
- 야생 과일: 블루베리, 산딸기 같은 야생 열매는 좋은 에너지원이지만, 반드시 독성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- 식용 풀과 뿌리: 민들레, 질경이, 바랭이 같은 풀은 생으로 먹거나 끓여 먹을 수 있습니다.
- 곤충: 메뚜기, 개미, 애벌레 등은 단백질이 풍부하여 생존에 도움이 됩니다. 다만, **색이 강렬한 곤충(빨강, 노랑)**은 독성이 있을 수 있으니 피하세요.
✅ 주의해야 할 것
- 색이 화려한 열매나 버섯은 피하기: 독성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먹기 전 알레르기 반응 테스트하기: 입술에 살짝 대고 5분간 기다린 후, 혀에 살짝 올려 15분을 더 기다립니다. 이상이 없다면 소량만 섭취합니다.
음식을 구할 수 없다면 최소 3일(72시간)은 물만 마시면서도 생존 가능하므로, 물 확보가 더 중요합니다.
다음은 물 안전하게 찾고 정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.
물 – 안전하게 찾고 정화하는 방법
사람은 음식 없이도 일주일 정도 버틸 수 있지만, 물 없이 3일 이상 생존하기는 어렵습니다.
야생에서는 깨끗한 물을 확보하는 것이 생존의 핵심입니다.
✅ 야생에서 물을 찾는 방법
- 하천과 강물: 흐르는 물이 고여 있는 물보다 깨끗합니다. 하지만 반드시 정수해야 합니다.
- 이슬 모으기: 아침 이슬을 잎사귀에 모아 마시거나, 비닐봉지를 나뭇가지에 씌워 이슬을 모으는 방법도 있습니다.
- 식물에서 물 얻기: 선인장이나 대나무 같은 식물은 내부에 물을 저장하고 있습니다.
- 비 올 때 물 모으기: 깨끗한 천이나 용기를 이용해 빗물을 모으면 정수 없이도 마실 수 있습니다.
✅ 물을 정화하는 방법
- 끓이기: 가장 확실한 방법은 물을 3~5분 이상 끓이는 것입니다.
- 숯과 천을 이용한 정수: 나뭇조각과 숯을 층층이 쌓아 물을 거르면 불순물이 제거됩니다.
- 정수 알약 사용: 생존 키트에 있는 정수 알약을 활용하면 빠르게 정수할 수 있습니다.
물을 찾을 수 없다면 땀 배출을 최소화하고, 체온을 유지하며 물 소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.
다음은 피난처 안전한 은신처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.
피난처 – 안전한 은신처 만들기
야생에서는 비, 바람, 추위, 더위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는 피난처가 필수입니다.
특히 밤에는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므로 보온이 가능한 장소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✅ 자연 지형을 활용하는 방법
- 동굴이나 바위 밑을 이용: 자연적으로 보호되는 장소는 바람과 비를 막아줍니다. 단, 야생동물이 없는지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.
- 나무 밑을 피난처로 활용: 큰 나무 아래에서 바람을 막고, 바닥에 나뭇잎을 깔아 보온할 수 있습니다.
✅ 간단한 피난처 만들기
- A프레임 셸터(삼각형 구조): 나뭇가지를 삼각형 모양으로 세운 뒤, 큰 잎이나 풀을 덮어 보호막을 만듭니다.
- 비닐이나 우비 활용: 가방에 비닐 시트를 챙겨두면 피난처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.
- 바닥에 단열재 만들기: 잎사귀나 마른 풀을 깔아두면 지면에서 올라오는 냉기를 막을 수 있습니다.
✅ 주의할 점
- 바람이 강한 곳 피하기
- 강 근처는 피하는 것이 좋음 (홍수 위험)
- 야생동물의 흔적이 있는 곳은 피난처로 부적절
피난처를 확보하면 체온을 유지할 수 있어 체력 소모를 줄이고 안전하게 밤을 보낼 수 있습니다.
마지막으로 생존을 위한 추가 기술 불 피우기와 구조 신호 보내기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.
생존을 위한 추가 기술 – 불 피우기와 구조 신호 보내기
야생에서 살아남으려면 불을 피우는 기술과 구조 신호 보내는 방법도 중요합니다.
불은 체온 유지, 요리, 동물 퇴치 등의 역할을 하며, 신호는 구조대가 나를 찾을 확률을 높여줍니다.
✅ 불 피우는 방법
- 마른 나뭇가지와 나뭇잎 사용: 작은 가지부터 시작해 점점 큰 장작을 추가합니다.
- 돋보기나 안경 렌즈 이용: 햇빛을 모아 불을 붙이는 방법입니다.
- 마찰을 이용한 불 피우기: 나무 막대를 빠르게 돌려 마찰열을 만들어 불씨를 만드는 방법도 있습니다.
✅ 구조 신호 보내기
- 연기 신호: 불을 피운 뒤 젖은 잎을 덮으면 연기가 나와 멀리서도 신호를 볼 수 있습니다.
- SOS 표시 만들기: 바닥에 돌이나 나뭇가지로 "SOS"를 크게 만들어 항공 구조대가 쉽게 볼 수 있도록 합니다.
- 휘슬 사용: 3번씩 휘슬을 불면 국제적인 조난 신호입니다.
불을 피우고 구조 신호를 보내는 것은 야생에서 생존할 확률을 높이는 필수 기술입니다.
마무리 – 72시간 동안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것
야생에서 72시간을 살아남으려면 먹을 것, 물, 피난처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- 먹을 것: 안전한 식물을 선택하고, 곤충과 견과류를 적극 활용한다.
- 물: 흐르는 물을 찾아 정화해서 마신다.
- 피난처: 자연 지형을 활용하거나 간단한 대피소를 만든다.
- 불 피우기와 구조 신호: 불을 피워 체온을 유지하고 구조 신호를 보낸다.
야생에서의 72시간은 생존과 직결된 시간입니다.
미리 대비하고, 필요한 기술을 익혀두면 어떠한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.
다음글은 생존하는 법 4탄 "재난 발생 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10가지"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.

'라이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"코스트코 연회비 5월부터 인상! 기존 회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?" (0) | 2025.02.03 |
---|---|
입춘 맞이하는 법: 새해 복을 기원하는 5가지 방법 (0) | 2025.02.02 |
아파트 화재 보험 알아보기 (0) | 2025.02.02 |
[필독] 아파트 화재 대처법 – 높은 층에서도 안전하게 탈출하는 방법 (0) | 2025.02.01 |
생존하는 법 5탄. 1년 동안 자급자족하며 살아남기 – 먹을 것부터 생필품까지 (0) | 2025.02.01 |
생존하는 법 4탄. "재난 발생 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10가지" (0) | 2025.02.01 |
생존하는 법 2탄. 기후 재난 시대, 날씨별 생존 가이드 (한파·폭염·홍수·가뭄) (0) | 2025.01.31 |
생존하는 법 1탄. 정전이 길어지면 어떻게 해야 할까? 도시에서 생존하는 법 (0) | 2025.01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