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의 민생지원금 외에도 **지방자치단체(시·군·구)**에서는 자체적으로 추가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.
단, 지자체별로 대상자, 금액, 신청방식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꼭 확인이 필요합니다.
✅ 목차
- 지자체 민생지원금이란?
- 서울시 – 저소득층 생활지원금
- 경기도 – 재난기본소득과 민생지원
- 부산시 – 소상공인 및 실직자 중심
- 광주시 – 에너지+생계 복합형
- 나의 지역은 어디서 확인할까?
- 마무리 요약
1. 지자체 민생지원금이란?
- 중앙정부와는 별도로 각 지자체가 편성한 자체 예산으로 지급
- 긴급생계비, 재난기본소득, 에너지바우처, 자영업자 지원금 등 형태 다양
- 지역 거주 요건 충족자만 신청 가능
- 신청은 주로 구청·시청 홈페이지 또는 동주민센터를 통해 진행됨
다음은 서울시입니다.
2. 서울시 – 저소득층 생활지원금
- 지원대상: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
- 지원금액: 10만 ~ 30만 원 / 1회
- 신청방법: 거주지 동주민센터 방문 신청
- 링크: 서울시 복지포털
다음은 경기도입니다.
3. 경기도 – 재난기본소득 및 민생경제지원
- 지원대상: 도내 거주 주민, 소상공인, 프리랜서
- 지원금액:
- 경기도민 재난기본소득: 1인당 10만 원
- 소상공인 민생지원: 최대 100만 원
- 신청방법: 경기복지플랫폼 또는 시군 홈페이지
- 링크: 경기도 복지포털
다음은 부산시입니다.
4. 부산시 – 자영업자 및 실직자 중심
- 지원대상: 자영업자, 일용근로자, 특수고용직
- 지원금액: 최대 70만 원 (단계별 차등)
- 신청방법: 부산복지정보 웹사이트 또는 구청 홈페이지
- 링크: 부산시 복지정보
다음은 광주시입니다.
5. 광주시 – 에너지+생계 복합형 지원
- 지원대상: 에너지취약계층, 1인가구, 청년층
- 지원금액:
- 에너지바우처: 15만 원 상당
- 청년 생계지원금: 최대 30만 원
- 신청방법: 광주광역시청 홈페이지
- 링크: 광주광역시 복지포털
6. 나의 지역은 어디서 확인할까?
전국 시·군·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.
또는 아래 포털에서 ‘○○시 민생지원금’ 검색:
- 정부24 www.gov.kr
- 복지로 www.bokjiro.go.kr
7. 마무리 요약
지역 대상 금액 신청처
서울시 | 기초수급자, 차상위 | 10~30만 원 | 주민센터 |
경기도 | 전 도민, 자영업자 | 10만~100만 원 | 복지포털 |
부산시 | 소상공인, 실직자 | 최대 70만 원 | 구청 |
광주시 | 청년, 에너지취약계층 | 15~30만 원 | 시청 |
👉 지자체별로 내용이 다르니 꼭 지역 홈페이지를 확인하세요!
📌 다음 글 예고:
7편 – 민생지원금 탈락 사유 7가지
→ “자격 되는 줄 알았는데 왜 떨어졌지?” 탈락 이유와 구제 방법을 정리해드립니다.
'사회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📘 8편: 정부 민생지원금 외 놓치기 쉬운 숨은 복지 혜택 TOP 5 (0) | 2025.07.14 |
---|---|
📘 7편: 민생지원금 탈락 사유 7가지 – 왜 나는 떨어졌을까? (0) | 2025.07.13 |
📘 5편: 민생지원금 Q&A – 자주 묻는 질문 총정리 (0) | 2025.07.12 |
📘 4편: 민생지원금 지급일과 지급 방식 – 언제, 어떻게 들어오나? (0) | 2025.07.11 |
📘 3편: 민생지원금 신청 사이트 정리 – 정부24, 복지로, 지자체까지 (0) | 2025.07.11 |
📘 2편: 민생지원금 신청방법 완전정복 – 온라인 vs 오프라인 (0) | 2025.07.10 |
📌 1편: 2025 민생지원금, 누가 받을 수 있나? 자격 조건 총정리 (0) | 2025.07.10 |
"군민 안전보험, 당신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필수 보장 제도" (0) | 2025.04.28 |